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신앙도서
  2. 신학
공급사 바로가기

종교개혁과 신학자들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도서명 종교개혁과 신학자들
판매가 31,500원
소비자가 35,000원
제조/출판사 CLC기독교문서선교회
적립금 1,58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제조/발행일 2012-02-23
판형/페이지 696p
ISBN 9788934111771
QR코드
qrcode
이미지로 저장코드URL 복사트위터로 보내기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옵션바로선택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종교개혁과 신학자들 수량증가 수량감소 31500 (  158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이벤트

 

도서소개

종교개혁 신학자들은 죽었을지는 모르나 사라지지는 않았다. 비록 “눈에 드러나지 않는” 종교개혁가들 중 몇몇은 더 이상 현대의 신학적 논의에서 익숙한 이름들이 아니라 하더라도, 그들이 가졌던 관심사들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남아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

- 카터 린드버그, 665쪽, ‘종교개혁 신학자들의 영향력’ -

 

16세기 종교개혁 연구를 위한 이상적인 입문서

본서는 16세기 당시의 신학적 배경, 사상, 신학자들의 영향력 등을 소개함으로써, 학생들과 학자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자료 및 통찰력을 제공한다. 본서는 종교개혁 사상의 모든 주요 흐름들을 종합적이면서도 생생하게 논의하며, 신학자, 비신학자, 인문주의자, 성직자, 평신도, 남자, 여자 등 종교개혁 시기에 영향을 끼쳤던 다양한 인물들을 탐구한다.

본서의 기고자들은 역사신학과 조직신학 분야에 있어 최고의 학자들이 다 질서있게 배열된 본서는 인문주의자, 루터파, 개혁파, 로마 가톨릭, “급진주의” 신학자들을 다루고 있다. 본서의 서론은 종교개혁에 대한 여러 해석들을 개관하며 결론에서는 종교개혁 신학이 현대에 끼친 영향을 설명한다.

 

[특징]

▪에라스무스, 루터, 칼빈, 베자, 츠빙글리, 뮌처 등 역사적으로 주목을 받거나 받지 않은 모든 종교개혁에 관련된 신학자들을 최고의 전문가들이 평가했다.

▪교파를 총망라하여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종교개혁을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입체적으로 연구한 16세기 종교개혁의 이상적인 입문서

 

[추천 독자]

▪ 종교개혁을 입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신학자들

▪ 종교개혁에 관한 입문서를 필요로 하는 신학생들

▪ 종교개혁의 어려운 사상들을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재미있게 읽고 싶은 일반 성도들

▪ 교파를 총망라하여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종교개혁 시기의 신학자들을 만나고 싶은 모든 그리스도인

 

 

차례

추천사 박창훈 박사(서울신학대학교 교수)

감사의 글

역자 서문

기고자들에 대한 소개

약어표

서론 - 카터 린드버그

제1부 인문주의 신학자들

제1장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 - 기 브두엘

제2장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 - 로렐 캐링턴

 

제2부 루터파 신학자들

제3장 마틴 루터 - 오슈발트 바이어

제4장 필립 멜랑히톤 - 하인츠 샤이블레

제5장 마티아스 플라키우스 - 올리버 올슨

제6장 아르굴라 폰 그룸바흐 - 피터 매티슨

제7장 우르바누스 레기우스 - 스캇 헨드릭스

제8장 요하네스 브렌츠 - 헤르만 에머

제9장 마틴 켐니츠 - 로버트 콜브

 

제3부 개혁파 신학자들

제10장 훌드리히 츠빙글리 - 로버트 콜브

제11장 하인리히 불링거 - 브루스 고든

제12장 존 칼빈 - 랜달 자크만

제13장 피터 마터 버미글리 - 프랭크 제임스

제14장 테오도르 베자 - 리처드 멀러

제15장 카타리나 슈츠 젤 - 엘시 앤 맥키

제16장 토마스 크랜머 - 피터 뉴먼 브룩스

제17장 리차드 후커 - 대니얼 애플리

 

제4부 로마 가톨릭 신학자들

제18장 토마스 데 비오 카예탄 - 제어드 윅스

제19장 토마스 모어 - 랄프 킨

제20장 이그나티우스 로욜라 - 존 오말리

제21장 아빌라의 테레사 - 길리언 알그렌

제5부 ‘급진적인’ 신학자들

제22장 안드레아스 보덴슈타인 폰 칼슈타트 - 알레한드로 쏘르씬

제23장 토마스 뮌처 - 고트프리드 제바스

제24장 카스파르 폰 슈벵크펠트 - 앙드레 세그엔니

제25장 메노 시몬스 - 슈카 불스트라

종교개혁 신학자들의 영향력 - 카터 린드버그

용어설명

색인

 

 

저자

길리언 알그렌(Gillian T. W. Ahlgren): 오하이오(Ohio) 주 신시내티(Cincinnati)에 위치한 자비어(Xavier)대학교의 신학교수이다. 그녀는 『아빌라의 테레사와 거룩의 정치학』(Teresa of Avila and the Politics of Sanctity, 1996)의 저자이며, 그녀가 쓴 『디고 요, 프란치스카: 16세기 톨레도에서 개혁을 선포하다』(Digo Yo, Francisca: Proclaiming Reform in SixteenthCentury Toledo)는 얼마 후 출판될 예정이다. 그녀는 또한 16세기 스페인의 여성에 관하여 수많은 논문을 썼다.

 

오슈발트 바이어(Oswald Bayer): 튀빙겐(Tübingen)대학의 조직신학 교수이며, 「조직신학과 종교철학을 위한 새로운 연구」(Neue Zeitschrift für systematische Theologie und Religionsphilosophie)의 편집인이다. 그의 수많은 논문들은 유럽과 미국의 여러 학술지에 출판되었다. 그가 쓴 많은 저서들 중 최근의 작품으로는 『신학(조직신학 1 핸드북)』(Theologie<Handbuch systematischer Theologie 1, 1995>), 『응답으로서의 자유: 신학적 윤리학을 향하여』(Freiheit als Antwort: Zur theologischen Ethik, 1995), 『저자로서의 하나님: 시적인 신학을 향한 접근』(Gott als Autor: Zu einer poietologischen Theologie, 1999) 등이 있다.

 

기 브두엘(Guy Bedouelle, OP): 스위스 프리부르그(Fribourg)대학교의 교회사 교수이며, 프랑스 파리 르 솔스아(Le Saulchoir)에 위치한 도미니크회 연구소(Dominican Center of Studies)의 소장이다. 르베프르 에타플(Lefévre d’Etaples)에 대한 출판물 이외에, 그는 패트릭 르 갈(Patrick Le Gal)과 협력하여 『헨리 8세의 이혼: 본문과 문서 연구』(Le “divorce” du roi Henry VIII, Texts et documents, 1987)를, 베르나르드 루셀(Bernard Roussel)과 함께 『종교개혁 시대와 성경』(Le temps des Réformes et la Bible, 1989)을 썼다. 그는 또한 『에라스무스 작품 전집』(Collected Works of Erasmus in English)의 제83권(1998)을 편집하였으며, 『파버에게 보내는 답변』(Apologia ad Fabrum) 대한 서론과 설명을 제공하였다.

 

피터 뉴먼 브룩스(Peter Newman Brooks): 케임브리지대학교의 로빈슨대학(Robinson College)의 원로 연구원이며, 1970년부터 1998년까지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신학부에서 교회사를 가르쳤다. 그는 현재 미국 슈리브포트(Shreveport)의 크랜머신학연구소(Cranmer Theological House)에서 대학원 과정을 감독하며 종교개혁을 가르치고 있다. 대륙과 영국의 종교개혁에 대한 그의 출판물로는, 그가 편집한 『일곱 개의 머리가 달린 루터』(SevenHeaded Luther, 1983)와 『상황에서 비추어 본 크랜머: 영국 종교개혁 문서 연구』(Cranmer in Context: Documents from the English Reformation, 1989) 그리고 그가 쓴 단행본 『토마스 크랜머의 성찬 교리』(Thomas Cranmer’s Doctrine of the Eucharist, 2판, 1992) 등이 있다.

 

로렐 캐링턴(J. Laurel Carrington): 미네소타(Minnesota)의 세인트올라프대학(St. Olaf College)의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사 교수이다. 그녀는 현재 『에라스무스 작품 전집』(Collected Works of Erasmus)의 제78권인 『남부 독일의 형제를 향한 서신』(Epistola ad Fratres Germaniae Inferioris)과 에라스무스의 『거짓 복음주의자에 반대하는 서신』(Epistola contra Pseudoevangelicos)에 대한 주석을 진행하고 있다.

 

헤르만 에머(Hermann Ehmer): 뷔르템베르그 복음주의 주(州)교회 고문서보관소(Landeskirchliche Archiv of the Evangelische Landeskirche in Württemberg)의 소장이며, 튀빙겐대학에서 뷔르템베르그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다. 1977년부터 1988년까지 그는 베르트하임국가고문서보관소(Wertheim Staatsarchiv)의 소장으로 일했다. 그는 또한 「뷔르템베르그 교회사 연구」(Blätter für württembergischen Kirchengeschichte)와 「뷔르템베르그 교회사를 위한 원전 연구」(Quellen und Forschungen zur w?ttembergischen Kirchengeschichte)의 공동편집인이다. 그는 바덴―뷔르템베르그(Baden―Wüttemberg)의 역사와 교회사 분야에 대한 수많은 출판물을 남겼다.

 

대니얼 에플리(Daniel F. Eppley): 텍사스에 있는 맥머리(McMurry)대학교의 교회사 교수이다. 아이오와대학(University of Iowa, 2000)에서 마친 그의 박사학위 논문은 “편리한 신앙: 튜더 왕조 시대 왕실의 수위권과 기독교 교리의 정의”(A Convenient Faith: Royal Supremacy and the Definition of Christian Doctrine in Tudor England)였다. 최근 그의 주된 연구 관심사는 튜더 왕조 시대 영국 왕실 수위권의 변호이다.

 

브루스 고든(Bruce Gordon): 세인트앤드류(St. Andrews)대학에서 근대사를 가르치며, 세인트앤드류종교개혁연구소의 부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그는 『성직자 훈련과 시골의 종교개혁』(Clerical Discipline and the Rural Reformation, 1992)을 저술했고, 『16세기 유럽의 개신교 역사와 정체성』(Protestant History and Identity in SixteenthCentury Europe, 2 vol., 1996)을 편집하였으며, 피터 마샬(Peter Marshall)과 함께 『죽은 자들의 자리: 중세 후기와 근대 초기에 나타난 죽음과 기억』(The Place of the Dead: Death and Remembrance in Late Medieval and Early Modern Europe, 2000)을 편집하였다. 그는 현재 츠빙글리에 대한 책을 쓰고 있다.

 

스캇 헨드릭스(Scott Hendrix): 프린스턴(Princeton)신학교에서 종교개혁 역사와 교리를 가르치는 교수이다. 그는 루터와 레기우스(Rhegius)에 대해 수많은 논문을 썼다. 그의 저서로는 『루터와 교황청: 종교개혁 투쟁의 단계들』(Luther and the Papacy: Stages in a Reformation Conflict, 1981), 『종교개혁에 있어 전통과 권위』(Tradition and Authority in the Reformation, 1996), 귄터 가스만(G?ther Gassmann)과 함께 쓴 『포트레스출판사 루터교 신앙고백서 입문』(The Fortress Introduction to the Lutheran Confessions, 1999) 등이 있다.

 

프랭크 제임스(Frank A. James, III): 플로리다 올랜도(Orlando)에 위치한 리폼드(Reformed)신학교의 역사신학 교수이자, 옥스퍼드대학 내 종교개혁연구센터의 방문교수이다. 그는 도넬리(J. P. Donnelly)와 맥클랜드(J. C. McLelland)와 함께 『피터 마터 선집』(The Peter Martyr Reader)을 편집했고, 『피터 마터 버미글리와 예정: 이탈리아 종교개혁가의 어거스틴적 유산』(Peter Martyr Vermigli and Predestination: The Augustinian Inheritance of an Italian Reformer, 1998)를 저술했으며, 하이코 오버만(Heiko A. Oberman)과 함께 『어거스틴의 방법: 중세 후기, 르네상스, 종교개혁 시기에 나타난 어거스틴의 부흥』(Via Augustini: The Recovery of Augustine in the Later Middle Ages, Renaissance and Reformation)을 공동 편집했다. 1996년 이후로 프랭크 교수는 『피터 마터 저작전집』(Peter Martyr Library)의 책임편집자로 일하고 있다.

 

랄프 킨(Ralph Keen): 아이오와대학(University of Iowa)의 종교학 교수이다. 그는 『요하네스 부겐하겐에게 보내는 답변』(Responsio ad Johannem Bugenhagium Pomeranum, 1988)을 편집 및 번역했고, 『종교개혁 사상에 나타난 신적 권위와 인간적 권위: 정치적 질서에 대한 독일 신학자들의 사상 연구, 1520―1555』(Divine and Human Authority in Reformation Thought: German Theologians on Political Order, 1520―1555, 1997)를 저술하였다. 그는 현재 16세기 가톨릭주의의 다양성에 관한 비교 연구를 진행 중이다.

 

로버트 콜브(Robert Kolb): 세인트 루이스에 있는 콩콜디아(Concordia)신학교의 선교연구소 교수이다. 그는 종교개혁 분야와 관련하여 많은 책을 썼는데, 그 중 『루터의 후예들이 정의한 그의 유산』(Luther’s Heirs Define His Legacy, 1996), 『예언자, 교사 그리고 영웅으로 비쳐진 마틴 루터: 종교개혁가에 대한 이미지, 1520―1620』(Martin Luther as Prophet, Teacher, and Hero: Images of the Reformer, 15201620, 1999) 등이 있다. 그의 가장 최근 작품은 티모시 웽거트(Timothy Wengert)와 함께 『일치서(書)』(The Book of Concord)를 새롭게 번역한 『복음주의 루터교단의 신앙고백서』(The Confessions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2000)이다.

카터 린드버그(Carter Lindberg):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의 신학대학원에서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다. 그는 『유럽의 종교개혁』(The European Reformations, 1996)과 『자선을 넘어서: 빈민을 위한 종교개혁의 주도』(Beyond Charity: Reformation Initiatives for the Poor, 1993)를 저술했고, 『유럽 종교개혁 자료집』(The European Reformations Sourcebook, 2000)을 편집했다.

 

피터 매티슨(Peter Metheson): 멜버른대학교(University of Melbourne)의 역사학 교수이자 신학원장이다. 아르굴라 폰 그룸바흐(Argula von Grumbach)에 대한 연구와 번역뿐 아니라, 그는 『토마스 뮌처 저작 선집』(The Collected Works of Thomas M?tzer, 1988)을 편집하고 번역했다. 그의 가장 최근 작품들로는 『종교개혁의 수사학』(The Rhetoric of the Reformation, 1998)과 『종교개혁의 상상적 세계』(The Imaginative World of the Reformation, 2000) 등이 있다.

 

엘시 앤 맥키(Elsie Anne McKee): 프린스턴(Princeton)신학교의 종교개혁 및 예배역사 교수이다. 카타리나 슈츠 젤(Katharina Schütz Zell)에 대해 쓴 출판물뿐 아니라, 그녀는 또한 『집사와 예전적 자선에 대한 존 칼빈의 견해』(John Calvin on the Diaconate and Liturgical Almsgiving, 1984), 『장로들과 복수(複數)적 사역: 존 칼빈의 신학 조명에 있어 주석 역사의 역할』(Elders and the Plural Ministry: The Role of Exegetical History in Illuminating John Calvin’s Theology, 1988), 『고전적인 개혁주의 전통과 오늘날에 있어 봉사』(Diakonia: In the Classical Reformed Tradition and Today, 1989) 등을 저술하였다. 암스트롱(B. Armstrong)과 함께 그녀는 『개혁주의 전통에 대한 검토: 에드워드 다우위 기념 논문』(Probing the Reformed Tradition: Historical Studies in Honor of Edward A. Dowey, Jr., 1989)을 편집하였다.

 

그레고리 밀러(Gregory J. Miller): 오하이오에 있는 말론대학(Malone College)의 역사 교수이다. 보스턴대학교에서 학위논문으로 『거룩한 전쟁 및 거룩한 공포: 1520―1545년 독일의 소책자에 나타난 이슬람에 대한 견해』(Holy War and Holy Terror: Views of Islam in German Pamphlet Literature 15201545, 1994)를 쓴 이후로, 그는 이슬람에 대한 초기 근대 유럽의 반응을 집중적으로 연구해 왔다. 그는 현재 츠빙글리의 후계자였던 테오도르 비블리안더(Theodor Bibliander)에 대한 책을 쓰고 있다.

 

리차드 멀러(Richard A. Muller): 미시간 주 그랜드 래피즈(Grand Rapids)에 위치한 칼빈(Calvin)신학교의 역사신학 교수이다. 개혁파 정통주의에 대한 그의 광범위한 저작들로는 『그리스도와 작정: 칼빈에서부터 퍼킨스에 이르기까지 개혁주의 전통에 나타난 기독론과 예정』(Christ and the Decree: Christology and Predestination in Reformed Theology from Calvin to Perkins, 1988), 『야콥 아르미니우스의 사상에 나타난 하나님, 창조, 섭리』(God, Creation, and Providence in the Thought of Jacob Arminius, 1991), 『종교개혁 후 개혁주의 교의학』(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2 vols., 1987, 1993) 등이 있다. 그가 가장 최근에 쓴 저서는 『적응되지 않은 칼빈』(The Unaccommodated Calvin: Studies in the Foundation of a Theological Tradition, 2000)이다.

 

올리버 올슨(Oliver K. Olson): 마켓대학(Marquette University)의 신학과 명예교수이며, 미 해군의 군목으로 일했다. 그가 쓴 『마티아스 플라키우스와 루터의 개혁의 생존』(Matthias Flacius and the Survival of Luther’s Reform)은 조만간 출판 예정이다.

 

존 오말리(John W. O’Malley, SJ): 웨스톤예수회신학교(Weston Jesuit School of Theology)의 교회사 교수이다. 그는 종교개혁과 근대 초기 가톨릭주의에 관한 많은 연구물을 남겼으며, 가장 최근에는 『최초의 예수회』(The First Jesuits, 1993)와 『트렌트공의회: 근대 초기 가톨릭주의에 대한 재평가』(Trent and All That: Renaming Catholicism in the Early Modern Era, 2000)를 썼다.

 

하인츠 샤이블레(Heinz Scheible): 하이델베르그학문연구소(Heidelberg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의 멜랑히톤연구센터의 대표이다. 이곳에서 그는 멜랑히톤의 서신에 대한 비평 연구판을 작업했다. 그는 『옥스퍼드 종교개혁 백과사전』(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Reformation)과 『신학 백과사전』(Theologische Realenzyklopädie)에 멜랑히톤에 대한 글을 기고했고, 『멜랑히톤 전기』(Melanchthon: Eine Biographie, 1997)를 저술했다.

 

고트프리트 제바스(Gottfried Seebass): 하이델베르그대학교(University of Heidelberg)의 교회사 교수이며, 『신학백과사전』(Theologische Realenzyklopädie)을 포함한 많은 연구서들을 편집하였다. 최근 이레네 딩엘(Irene Dingel)은 그의 글들을 모아 『외부인의 종교개혁: 논문 및 저서 모음집』(Die Reformation der Aussenseiter. Gesammelte Aufs?ze und Vorträge, 1997)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앙드레 세그엔니(André Séguenny): 스트라스부르그대학(University of Strasbourg)의 국립학문연구소(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의 연구원이다. 그는 『반대자들의 도서 모음』(Bibliotheca Dissidentium) 시리즈(20권)를 편집하였고, 『카스파르 슈벵크펠트의 기독론』(The Christology of Caspar Schwenckfeld, 1987)과 『신령주의자들: 16세기 독일의 젊은 인문주의자들의 철학과 종교』(Les Spirituels: Philosophie et religion chez les jeunes humanistes allemands au seiziéme siécle, 2000)를 저술했다.

 

슈카 불스트라(Sjouka Voolstra): 메노나이트신학교(암스테르담)와 암스테르담 대학교(University of Amsterdam)에서 메노나이트 역사와 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메노 시몬스(Menno Simons)에 관한 그의 저서로는 『말씀이 육신이 되다: 멜키오르주의자―메노주의자의 성육신 교리』(Het Woord is vlees geworden. De melchioritischmenniste incarnatieleer, 1982)와 『메노 시몬스: 그의 이미지와 메시지』(Menno Simons: His Image and Message, 1997) 등이 있다.

 

재어드 윅스(Jared Wicks, SJ): 뮌스터(Münster)대학교에서 에르빈 이절로(Erwin Iserloh)의 지도하에 루터에 대한 학위 논문(1967)을 쓴 이후 종교개혁 신학의 연구에 활발히 참여해 왔다. 그의 여러 논문들은 『루터의 개혁: 회심과 교회에 대한 연구』(Luther’s Reform: Studies in Conversion and the Church, 1992)에 수록되어 있다. 그는 카예탄(Cajetan)에 대해 연구했을 뿐 아니라, 『종교개혁 백과사전』(Encyclopedia of the Reformation, 1995)에 16세기 가톨릭 신학자들에 대한 글을 기고했다. 그는 현재 로마에 위치한 그레고리대학(Gregorian University)에서 신학을 가르친다.

 

랜달 자크만(Randall C. Zachman): 노틀담대학교(University of Notre Dame) 신학부의 종교개혁 교수이다. 이곳에서 그는 또한 MA 및 MTS 프로그램을 책임지고 있다. 그는 『신앙의 확신: 마틴 루터와 존 칼빈의 신학에 나타난 양심』(The Assurance of Faith: Conscience in the Theology of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1993)을 썼고, 다양한 신학 학술지에 여러 논문을 게재하였다.

 

알레한드로 쏘르씬(Alejandro Zorzin): 아르헨티나에 있는 델리오데라플라타 복음주의 교회(Iglesia evangélica del Rio de la Plata)의 목사로, 최근에는 독일로부터의 목회청빙을 수락했다. 칼슈타트를 주제로 한 그의 박사학위 논문은 『소책자 저자로서의 칼슈타트』(Karlstadt als Flugschriftenautor, 1990)였으며, 그의 논문 “16세기 개신교 종교개혁의 종말론”(escatología apocalítica en la Reforma protestante del siglo XVI)은 자신이 공동편집했던 『종말론과 영성: 새천년을 향한 기대』(Escatología y espiritualidad: expectativas ante el nuevo milenio, 1999)에 실려 있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상품을 공급 받으신 날로부터 7일이내 단, 가전제품의 경우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에는 교환/반품이 불가능합니다.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다르게 이행된 경우에는 공급받은 날로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로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고객님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 상품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는 제외
-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 ( 예 : 가전제품, 식품, 음반 등, 단 액정화면이 부착된 노트북, LCD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불량화소에 따른 반품/교환은 제조사 기준에 따릅니다. )
-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단, 화장품등의 경우 시용제품을 제공한 경우에 한 합니다.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상품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자세한 내용은 고객만족센터 1:1 E-MAIL상담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

환불정보

환불시 반품 확인여부를 확인한 후 3영업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 됩니다.)

서비스문의

#서비스 문의안내 내용#



TODAY'S
ITEMS

  • 버튼
  • 버튼
  • 버튼
 

QUICK ICONS

라인

  • 공지사항
  • 문의하기
  • 상품후기
  • 포토후기
  • 이벤트
  • 고객센터
  • 마이쇼핑
  • 배송조회
  • 주문조회
  • 장바구니
  • 관심상품
  • 최근본상품
  • 적립금
  • 예치금
  • 등급안내
  • 쿠폰관리
  • 내게시물
  • 좋아요